본문 바로가기
JAVA

삼항 연산자

by RoyalBlue 2023. 9. 19.

길고도 길었던 연산자 포스팅의 part3이자, 마지막인 삼항 연산자를 알아보자.

긴말 없이 바로 시작해보겠다.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는 조건 연산자라고도 부르며,조건에 따라 두 가지 중 하나의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총 3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조건식 ? 표현식1 : 표현식2"의 구조를 가진다.

 

 

삼항 연산자는 세 개의 피연산자 사이사이에 기호 " ? ", " : " 가 있는데,

" ? " 앞의 조건식에는 boolean타입 변수나 조건식이 자리한다.

 

그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 " : " (콜론) 앞의 결과값 또는 연산식을 선택하고,

조건식의 결과가 false인 경우 : " (콜론) 뒤의 결과값 또는 연산식을 선택하게 된다. 

 

 

피연산자2와 3에는 주로 값이 오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연산식이 올 수도 있다.

 

아래는 결과값이 2개였던 삼항 연산자를, 삼항 연산자 내부에 삼항 연산자를 하나 더 사용해

총 3개의 결과값 중 최종 결과를 얻는 예시이다.

 

삼항 연산자는 간결한 조건문을 대체하여 사용하여야 코드가 명확하고 삼항 연산자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위의 중첩 삼항연산자의 경우, if-else문을 사용하는 것이 더 명확하고 효율적이다.)

 

즉 삼항연산자를 통해 코드를 더 직관적이게 구성하되,

복잡한 조건을 다룰 때에는 너무 중첩된 삼항 연산자의 사용 혹은 남발은 좋지 않다.

 

 


 

 

삼항 연산자를 마지막으로 연산자 포스팅이 끝났다.

후다닥 끝내고 싶었지만 이것 저것 동시에 공부하다 보니 연산자 포스팅이 좀 늦어진 감이 있다.

(티스토리에는 순서대로 올라가고 있겠지만 실제로는 현재, 객체와 다형성, 예외처리를 공부하고 있다 ㅠㅠ)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switch 문)  (0) 2023.09.22
조건문(if 문)  (0) 2023.09.20
연산자(part 2)  (0) 2023.09.11
산술 연산식에서의 형변환  (0) 2023.09.06
연산자(part 1)  (0) 2023.09.05